겨울철 정전기 원인, 정전기 잡는 법
한줄요약: 건조하면 잘 생긴다. 습도를 유지하고 미리미리 방전시키자.
"앗, 따궈~" 무심코 문고리를 잡았다가 찌릿해서 놀란 경험 누구나 한번쯤 있을 것이다.
춥고 건조한 계절이면 늘 따라오는 불청객. 옷을 입을 때, 물건을 만질 때, 악수할 때 등 찌릿찌릿 놀라게 하는 바로 그 정전기다.
신체가 물체와 접촉할 때마다 전자는 신체와 물체를 오가면서 전기로 저장된다. 그러다가 적정 한도 이상으로 전기가 쌓였을 때, 건조한 공기 중에 미처 흡수되지 못한 전기가 적절한 유도체를 만나면 한꺼번에 방전된다. 이것이 정전기다.
정전기는 대체로 건조한 사람에게 잘 일어난다. 피부에 수분이 많으면 전기가 중성 상태가 되면서 전기 이동이 활발히 이뤄지지 않아 정전기가 잘 생기지 않는다. 반대로 건조하면 전기 중성 상태를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강하게 잘 일어난다.
습도가 낮을수록 정전기가 많이 생긴다. 대기의 상대 습도가 30% 이하면 정전기가 많이 쌓인다. 공기가 건조한 겨울철에 정전기를 자주 볼 수 있는 이유다. 반대로 상대 습도가 60% 이상이면 정전기가 잘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정전기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젊은 사람보다 나이든 사람에게서 정전기가 더 자주, 쇼크도 크게 일어난다. 노화로 피부가 건조해진 까닭이다. 물론 어리더라도 피부가 건조한 사람일수록 정전기에 쉽게 노출된다.
남녀 차이도 있다. 남자는 약 4000볼트 이상이 될 때 정전기를 느끼고, 여자는 약 2500볼트만 돼도 쇼크를 느낀다. 뚱뚱한 사람보다는 마른 사람이 정전기를 더 크게 느낀다. 평소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이 정전기의 영향을 덜 받는다.
정전기는 전류가 없어 대체로 인체에 무해하긴 하지만, 찌릿한 순간 아프고 꽤 불쾌하다. 순간 전압이 수천볼트에서 수만볼트에 달하기 때문에, 일순간 감전되어 통증이 생기는 것이다. 보통 일상생활에 쓰이는 전압은 220볼트, KTX 기차를 이끄는 전압은 2만볼트다. 정전기는 이보다 높은 매우 강한 전압으로 드물긴 하지만 피부에 가벼운 전기화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정전기를 일어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정전기는 주로 옷을 입거나 머리를 손질할 때, 차 문을 열거나 문고리를 잡을 때 등에 많이 일어 나기 때문에 특히 정전기가 잘 발생하는 상황을 미리 파악하여 상황에 맞는 대응법을 마련해 두면 좋다.
유독 정전기가 잘 생기는 옷이 있다면, 입기 전 욕실에 잠시 놔둬서 습기를 적당히 머금은 상태로 만든 뒤 입으면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다. 스커트나 바지가 정전기에 의해 몸에 들러붙거나 말려 올라가면 로션이나 크림을 다리나 스타킹에 발라주는 것도 임시방편이다.
정전기가 특히 잘 일어나는 신체 부위는 손과 머리카락으로, 손에는 핸드로션을 바르고, 머리 감을 땐 샴푸 외에도 린스, 트리트먼트를 사용해 수분을 공급하면 도움이 된다.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된 빗은 정전기를 일으키므로 나무 소재의 빗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차 문을 열고 내릴 때 한쪽 손으로 차의 문짝을 잡고 발을 내딛는다. 운전자의 옷과 시트커버가 마찰하면서 생겨난 정전기를 내보내는 효과가 있다. 동전, 열쇠 등으로 차체를 툭툭 건드려 정전기를 흐르게 한 다음 차문을 여는 것도 좋다. 금속 재질의 문고리를 잡고 문을 열 때도 마찬가지.
주유할 때 정전기는 화재 유발 인자다. 이에 따라 셀프 주유 시 정전기 방지 패드에 손을 얹는 것은 필수다. 그렇지 않고 바로 주유를 하다가 주유 중에 유증기가 튀어나와 경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주유 시 정전기 발생으로 불이나 3도 화상에 입은 사건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게 하려면 실내 습도를 40~60%로 유지하는 게 좋다. 정전기를 예방하려면 피부가 건조하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보습제를 발라서 피부가 건조하지 않게 하는 것도 방법이다.